본문 바로가기
etc

부처의 무재칠시란:(재미있는 이야기)

by 야생마하 2025. 6. 15.

부처님의 무재칠보시(無財七布施): 실존 인물 수닷타 장자 감동 설법 이야기

 

우리는 종종 나는 가진  없으니 남을 도울  없다 생각합니다. 

하지만 부처님께서는 재산이 없어도 누구나 베풀  있는 7가지가 있다 가르치셨죠. 

 가르침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구체적인 인물과 실제 상황에서 나온 생생한 이야기입니다.

 

 부처님의 무재칠보시 설법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그리고  중심에 있었던 인물 수닷타 장자(給孤獨長者, 아나타핀디카)’ 이야기까지 함께 풀어봅니다.

 

 

 

부처님의 무재칠보시

재산 없이도 누구나 베풀 수 있는 7가지 아름다운 실천
무재칠보시(無財七布施)는 부처님께서 설하신, 재물이 없어도 누구나 마음과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7가지 보시입니다. “네가 이 일곱 가지를 몸소 행하여 습관이 붙으면 너에게 행운이 따르리라.”는 말씀처럼, 이 실천은 내 삶과 세상을 바꾸는 작은 기적이 됩니다.
😊
화안시(和顔施)
온화하고 밝은 얼굴로 상대를 대하는 것. 미소는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입니다.
예시: 출근길, 낯선 이에게도 환한 미소로 인사해보세요.
부처님께서 “웃는 얼굴은 곧 복을 부르는 얼굴”이라 하셨습니다. 작은 미소 하나가 상대의 하루를 바꿉니다.
💬
언시(言施)
따뜻하고 공손한 말, 위로와 칭찬, 격려의 한마디는 큰 선물이 됩니다.
예시: “수고했어”, “고마워”, “네 덕분이야” 같은 말 한마디.
힘든 친구에게 건넨 한마디가, 그날 그 친구의 마음을 지탱해줍니다.
💖
심시(心施)
따뜻하고 어진 마음, 진심으로 남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마음입니다.
예시: 가족이나 동료의 고민을 진심으로 들어주기.
부처님은 “마음에서 우러나온 배려가 가장 큰 보시”라 강조하셨습니다.
👀
안시(眼施)
자비로운 눈빛, 부드러운 시선으로 상대를 바라보는 것 역시 큰 선행입니다.
예시: 상대방의 눈을 따뜻하게 바라보며 경청하기.
눈빛 하나에도 진심이 담기면, 말보다 더 큰 위로가 됩니다.
🤲
신시(身施)
몸으로 직접 행동해 돕는 것. 봉사, 작은 도움, 공손한 태도 모두 해당됩니다.
예시: 무거운 짐을 들어주거나, 쓰레기를 대신 치워주기.
수닷타 장자는 시장에서 노파의 짐을 들어주며 “서로 돕는 세상이 복된 세상”임을 몸소 보여주었습니다.
🪑
상좌시(床座施)
좋은 자리를 양보하는 것. 공간을 나누는 배려가 큰 복이 됩니다.
예시: 대중교통, 병원 등에서 자리 양보하기.
작은 양보가 상대에게는 큰 감동이 될 수 있습니다.
🔎
찰시(察施)
묻지 않아도 상대의 속을 헤아려 먼저 도와주는 것. 세심한 관찰과 배려입니다.
예시: 동료가 힘들어 보이면 먼저 다가가 “괜찮아?” 물어주기.
부처님은 “관심과 배려는 말 없는 큰 선물”이라 하셨습니다.
“이 7가지를 일상에서 실천하면,
내 삶과 세상에 행운과 복이 깃든다.”

– 석가모니 부처님

 

 

수닷타 장자(아나타핀디카) 사연

 

기원전 6세기 인도 사왓티(舍衛城)에는 수닷타라는 이름의 부유한 상인이 있었습니다.

 그는 고아와 빈민을 돌보는 자선사업가로, ‘고독한 자들을 먹여 살리는 사람이라는 뜻의 기부독장자(給孤獨長者, 아나타핀디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어느 , 수닷타 장자는 부처님을 만나기 위해 길을 떠나, 부처님께 이런 고민을 털어놓았습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가진 것이 많아 남을 도울  있지만, 저처럼 부유하지 않은 사람들은 어떻게 복을 쌓을  있겠습니까?”

 질문에 부처님께서는 미소를 띠시며, 무재칠보시의 가르침을 설하셨습니다.

 

 

부처님의 설법: 무재칠보시의 7가지

 

부처님은 수닷타 장자와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재물이 없어도 누구나 베풀  있는 7가지가 있으니,

  1. 화안시(和顔施): 온화한 얼굴로 미소를 짓는 
  2. 언시(言施): 따뜻하고 격려하는 말을 건네는 
  3. 심시(心施): 진심 어린 마음으로 배려하는 
  4. 안시(眼施): 자비로운 눈빛으로 상대를 바라보는 
  5. 신시(身施): 몸으로 직접 도와주는 
  6. 상좌시(床座施): 자리를 양보하는 
  7. 찰시(察施): 상대의 필요를 살펴 먼저 도와주는 

 일곱 가지는 누구나, 언제든, 어디서든 실천할  있다. 

네가  일곱 가지를 습관처럼 행하면 복과 행운이 반드시 따를 것이다.”

 설법은 《잡보장경》  여러 불경에 전해지며, 불교의 대표적 보시(布施) 사상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무재칠보시, 실제 이야기  감동

 

수닷타 장자는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크게 감동했습니다. 

그는 그날부터 자신의 재물뿐 아니라, 미소와 따뜻한 , 작은 배려까지도 주변 사람들에게 아낌없이 베풀었습니다. 

어느 , 수닷타 장자가 시장에서  노파가 무거운 짐을 들고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고 직접 짐을 들어주었습니다(신시). 

 

노파는 장자님 같은 분이  짐을 들어주시다니,  은혜를 어찌 갚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라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수닷타 장자는 저도 부처님께 배운 것뿐입니다. 

우리 모두 서로를 도우면 세상이  따뜻해질 것입니다라고 답했습니다.

 

이후 수닷타 장자는 사왓티에 거대한 (기원정사) 세워 부처님과 승가에 헌납했고, 그곳에서 수많은 이들이 무재칠보시를 실천하며 살아가게 되었습니다.

 

 

무재칠보시의 현대적 실천법

보시 의미 일상  예시
화안시 온화한 얼굴로 미소 짓기 출근길에 밝게 인사하기
언시 따뜻한 , 칭찬, 위로 친구에게 수고했어 말해주기
심시 진심 어린 배려 가족의 고민을 들어주기
안시 자비로운 눈빛 상대방을 존중하며 바라보기
신시 몸으로 직접 돕기 무거운  들어주기, 쓰레기 줍기
상좌시 자리를 양보하기 대중교통에서 자리 양보
찰시 필요를 살펴 먼저 돕기 동료의 힘든 점을 알아채 먼저 도와주기

 

 

 

 

 

부처의 가르침삶의 행운

 

부처님의 무재칠보시는 누구나, 아무것도 없어도 베풀  있다 희망의 메시지입니다. 

오늘 하루, 미소  , 따뜻한  한마디, 작은 배려 하나로  주변에 행운과 행복을 불러보세요.

  선한영향력은 반드시 나에게도 돌아옵니다.

 

네가  일곱 가지를 행하여 습관이 붙으면 너에게 행운이 따르리라.”


 
석가모니 부처님

 

2025.05.22 - [etc] - 김구 선생과 관상에 관한 이야기(재미있는 이야기)

 

김구 선생과 관상에 관한 이야기(재미있는 이야기)

김구 선생과 관상, 그리고 마음의 힘: 내 이야기와 함께대한민국 근현대사에서 가장 존경받는 인물 중 한 명, 백범 김구 선생. 그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뜨거워지는 분이지만, 그의 삶을 깊이 들

wildmach.tistory.com